본문 바로가기
정보

영화 어른 김장하 넷플릭스 추천 다큐멘터리 리뷰

by 오마이맛 2025. 5. 7.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를 보고 나서, 나는 ‘진짜 어른’이라는 단어의 무게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인물 소개가 아니라,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울림을 주는 이야기입니다.

 

 

영화 어른 김장하 넷플릭스 추천 다큐멘터리 리뷰
영화 어른 김장하 넷플릭스 추천 다큐멘터리 리뷰

 

 

돈이 목적이 아닌 삶, 그리고 조용한 사회 환원

김장하 선생은 1962년부터 경남 진주에서 한약방을 운영해온 인물입니다. 그는 평생 검소하게 살아가며 모은 100억 원 이상의 재산을 지역사회와 교육기관에 환원했습니다. 학교를 세우고 장학금을 지원하며 수많은 젊은이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그였지만, 자신이 드러나는 것을 꺼리고 선행을 감추는 겸손함까지 갖춘 인물이었습니다.  이 다큐를 통해 알게 된 사실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김장하 선생이 인터뷰조차 거부하며 평생 남몰래 선한 일을 실천해왔다는 것입니다. 진주라는 지역을 넘어서, 대한민국 전체에 잔잔한 감동을 준 그의 삶은 선행의 본질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교과서 같습니다.  그가 지켜온 철학은 ‘차별 없는 형평주의’입니다. 김장하 선생은 돈이 필요한 곳에 아낌없이 사용했습니다. 여성 인권이 논의되지 않던 시절, 여성단체 후원, 신분 차별을 없애기 위한 형평운동 지원, 학생운동을 하다 어려움에 처한 청년들에게 장학금 전달.   그는 “돈은 똥과 같다. 쌓아두면 악취가 나지만, 밭에 고루 뿌리면 거름이 된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 짧은 문장 안에 김장하 선생이 평생 실천해온 가치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나이가 많다고 해서 ‘어른’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이 다큐가 던지는 질문은 명확합니다. 진짜 어른은 어떤 존재인가?  김장하 선생은  남을 돕되 생색내지 않고, 자신을 드러내기보단 조용히 뒤에서 응원하며,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누며 살아왔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누구의 시선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걸어간 사람입니다.

 

나에게도 이런 어른이 있을까?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를 보고 나서, 나는 조용히 질문을 던졌습니다. “나는 어떤 어른이 되고 싶은가?” 단지 나이만 먹는 것이 아니라, 나 역시 누군가의 배움과 성장에 조용히 힘이 되어줄 수 있다면 좋겠다는 바람이 생겼습니다.  지금은 작은 블로그에 글을 쓰는 사람이지만, 언젠가는 글과 삶을 통해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김장하 선생처럼 조용히 실천하는 힘을 가진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인간의 욕심이란 끝이 없습니다.  10만원을 모으면, 1천만원을 가지고 싶고, 1천만이 되면 1억을 가지고 싶어합니다.  돈이 인생의 목표가 된다면, 그 목표의 끝을 볼 수 없기에 결국 허망한 욕심의 노예가 되어 불행한 삶을 살게 됩니다. 저는 허욕으로 가득한 탐욕한 인간으로 살기 싫습니다. 어른 이장하 선생처럼 살수는 없겠지만, 이 사회가 나에게 준 혜택의 일정부분을 사회에 환원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당장은 돈이 없으니, 우선 내 생각과 가치,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이 사회 환원을 하려합니다. 지금 제가 블로그 하는 이유는 바로 사회환원의 일환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마무리 정리

어른 김장하는 단순한 인물 미담이 아닙니다. 그의 철학과 실천은 지금 우리가 잊고 사는 '공존', '책임', '연대'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그리고 묻습니다. “당신은 어떤 어른인가요?”  이 사회는 혼자만 살아가는 세상이 아닙니다.  수 많은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한국사회는 아직도 여전히 차별이 존재합니다. 경제적 차별, 인종차별, 학력차별, 성별 차별등 다양한 차별을 받으며, 사회적 약자는 마음의 상처,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살아갑니다.  상처받은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심리공동체를 만들고 싶습니다.  영화를 통해, 콘텐츠 커뮤니티를 통해서 한국사회에서 차별받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심리적 감옥을 파괴해서 탈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넷플릭스 추천작으로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는 꼭 보시길 바랍니다. 이 작품을 통해 진짜 어른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 각자가 작은 실천을 시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